Sunday 2 November 2025
Home      All news      Contact us      RSS      English
ohmynews - 4 days ago

망설, 식민지근대화론 의 쟁점


1980년대 학계는 물론 일반 사회에 뜨겁게 달구어진 논쟁에는 식민지근대화론 이 자리잡았다.

일제의 식민통치가 한반도에 이득이 되었다는 이 억설은 국립서울대 일부 교수들이 주도하면서 사회적 파문을 일으키고 그 잔불 은 아직 꺼지지 않았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일본의 우익계열 출판사인 후소샤판 역사교과서에는 일제 식민통치가 조선의 근대화에 기여했다. 고 기술하고 있다.

한승조 고려대 명예교수는 2005년 3월 일본의 극우 잡지에 일본의 한국에 대한 식민지배는 오히려 축복해야 하는 것이며 일본인에게 감사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라는 글을 기고하였다. 일본의 우익세력이 한국식민통치를 정당화하는 발언을 하고 교과서까지 기술하게 된 데에는 이같은 한국인들의 역할도 크게 기여하였다.

일본 lt;산케이신문(産經) gt;은 한국에서는 일본의 식민지 지배가 좋은 일도 했다. 는 일본측 발언이 망언 으로 규탄받고 있으나 일본시대 재평가론은 실증적인 젊은 경제학자를 중심으로 조용히 확산돼 종합잡지에도 이러한 주장이 당당하게 등장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1997. 8. 14) 라고 보도한 적도 있다.

전체 내용보기


Latest News
Hashtags:   

식민지근대화론

 | 

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