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가을이 오는 것이 두렵다. 서늘해지는 날씨와 함께 한 해가 저무는 느낌이 들면서 묘한 상실감이 찾아 들기 때문이다. 한때 함께 했으나 지금은 곁에 없는 존재들이 자꾸만 떠오르면서 마음이 울적해지곤 한다. 무척이나 더웠던 올 여름조차 끝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었다.
그런 내게 이번 가을은 시작부터 유독 힘이 들었다. 지난 10월 초 일주일 사이에 나는 세 건의 부고를 접했다. 언제나 따뜻하고 다정했던 외숙모님을 잃었고, 상담심리사로서의 근본을 알려주신 존경하는 교수님도 세상을 떠났다. 만나 뵌 적은 없지만, 책으로 영상으로 내 삶의 모델이 되어 준 제인 구달 선생님도 이제 곁에 없다. 가을이면 떠오르는 잃어버린 것들에 대한 기억과 부고 소식까지 접하면서 나는 올 가을, 짙은 우울감에 빠져 지낼 거라 예상했다.
그런데 이런 나를 우울의 자리에서 건져준 노래가 있다. 바로 올해 데뷔 35주년을 맞은 가수 신승훈의 새 노래 끝에서, 서로에게 다. 차분한 멜로디에 얹힌 신승훈의 따뜻한 음성, 그리고 상실을 수용하며 살아가는 마음에 대한 가사까지. 이 노래 덕에 나는 이 가을을 꽤 포근히 건너고 있다.
아득한 줄 알았는데 떠오르는 기억들
노래는 이렇게 시작한다.
아득히 깊어서 보이지도 않아 내 마음 안에 널 길어 올리다 여전히 아파서 흠칫 놀라곤 해.
아마도 상실을 겪어본 이라면 누구라도 이 첫 소절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금방 알아차릴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살아오면서 많은 이별을 겪지만, 또 아무렇지도 않은 듯 하루하루를 살아간다. 나 역시도 돌아보면 참 많은 것들을 떠나 보냈다. 부모님 두 분이 내 곁을 떠났고, 늘 나와 함께 하던 첫째 반려견도 2년 전에 떠나보냈다. 이들과 헤어졌을 땐, 도저히 살아질 것 같지 않았지만, 지금 나는 이렇게 아무 일 없었던 듯 일상을 살아내고 있다.
하지만 아무리 아득한 일처럼 느껴지더라도 불현듯, 내 안에 이들이 살고 있음이 느껴진다. 특히, 가을이 되면 나는 더 그렇다. 부모님이 좋아하시던 음식만 봐도, 반려견과 함께 걸었던 공원만 지나가도, 이들이 떠오른다. 그리고 여전히 울컥 하는 내 모습에 놀라곤 한다.
사실, 난 지금까지 이런 기분이 들 때면 얼른 빠져나와 일상으로 돌아오려 했다. 일부러 약속을 만들기도 하고, 급하지 않은 일들을 급한 듯 해치우면서 말이다. 그런데 이어지는 다음 소절에 나는 멈칫하고 말았다. 신승훈은 이어서 이렇게 노래한다.
오래도록 네가 있어 내겐 다행이고 불행이야.
생각해보니 정말 그렇다. 오래도록 그 존재를 간직할 수 있는 건, 때로는 힘들지만 다행 인 일이기도 하다. 심리학에서는 진짜 죽음은 그 존재가 세상에서 완전히 잊힐 때 찾아온다고 이야기한다. 내가 이들을 기억하고 있다는 건, 여전히 내 마음 속에 이들이 살아 있다는 의미일 테다. 또한, 그만큼 깊이 사랑하고 많은 추억들을 나눴기에 마음 속에 더 오래도록 남아있는 것 아닐까. 이를 기억해내자 울컥한 감정에, 사랑하는 이들과의 기억에 조금 더 오래 머물 수 있게 됐다. 노래 가사처럼 눈물 어린 얼굴로 웃으면서 말이다.
영원한 것은 없지만
그러자 사랑했던 이들과의 좋았던 추억들이 더 많이 떠오르기 시작했다. 부모님과 헤어질 때 슬프고 힘들었던 기억들은 부모님이 내게 남겨준 따뜻한 말들이 덮어주었고, 반려견의 마지막 모습보다 함께하며 즐거웠던 순간들이 더 자주 떠올랐다. 가을이 짙어지고 있지만 마냥 우울하지는 않은 건 바로 이런 좋은 기억들이 자주 찾아오기 때문인 듯하다.
전체 내용보기
Sunday 2 November 2025
⁞
![APEC 정상들이 두른 ‘옥색 숄’…담긴 의미는? [청계천 옆 사진관]](/images/newhub-blank-news.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