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안 감독의 영화  lt;라이프 오브 파이 gt; 가운데 신비로운 섬 하나가 등장한다. 대양을 건너는 배가 침몰하며 벵골호랑이와 함께 바다 가운데서 표류하던 파이다. 목마름과 배고픔에 대항하여 겨우겨우 목숨만은 보존한 뒤 파이는 떠밀리듯 한 섬 가장자리에 닿는다. 미어캣으로 가득한 이 섬에는 배를 채울 수 있는 해초가 여기저기에 널려 있고, 맑은 물이 절로 솟아나는 웅덩이까지 있다. 부족한 것 없는 낙원이 바로 이곳인가 싶다. 어쩌면 일생을 이 섬에서 보내도 좋겠다고, 그런 생각에 이르렀을지도 모를 일이다. 저 먼 바다, 항해라고 할 수 없는 표류 가운데서 기약 없는 고난을 겪어온 파이가 아닌가.
그러나 그 섬은 생각과는 달랐다. 사방을 둘러보아도 발 디딜 땅 없는 섬은 온통 나무줄기로만 이루어져 있었다. 뿌리를 내린 곳도 알 수 없는 가지만 얽히고설킨 섬. 맹그로브 나무로 이뤄진 이 섬은 실제에선 도무지 찾아볼 수 없는 거대하고 환상적인 생태를 이루고 있다.
이 섬엔 비밀이 있다. 해가 지고 밤이 되면 낮의 모습은 간데 온데 없이 사라지고 생명체가 살 수 없는 곳으로 뒤바뀌는 것이다. 담수였던 연못은 산성으로 바뀌고 식물들도 사람을 잡아먹는다. 파이는 식물 안에서 사람의 치아를 발견하고 그 사실을 어렴풋이나마 깨닫는다. 마침내 섬을 벗어나 돌아보니 섬은 힌두교 신의 모습을 하고 있는 듯도 하다.
거북선 탄 세 사내의 무인도 표류기
    
 lt;바얌섬 gt;은 2023년 있었던 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 비전 섹션에 초청돼 한국영화감독조합 플러스엠상을 받은 작품이다. 영화는 올 가을 한국독립영화로선 드문 개봉기회를 잡아 극장서 관객들과 만나게 됐는데, 2년의 공백이 무색하게 작품을 기다리는 독립영화팬의 관심이 일고 있다. 신예라 해야 좋을 감독 김유민에 더하여 출연한 이상훈, 김기태, 이청빈, 전희연 등의 배우도 영화판에선 새로운 얼굴들이라, 한국영화계에 새 바람이 일길 기다리는 이들에겐 반가운 소식이라 하겠다.
 lt;바얌섬 gt;의 제목인  바얌섬 은 영화의 배경이 되는 가상의 공간이다. 여러모로 글 서두에 언급한  lt;라이프 오브 파이 gt; 속 삶과 죽음이 교차하는 섬을 떠올리게 하는데, 실제 도입부터가 그러하다. 몽휘, 창룡, 꺽쇠란 이름의 세 사내가 이 섬 백사장에 표류한 모습으로부터 영화는 시작한다. 이들은 전쟁을 나가던 배, 이들의 증언에 따르자면 거북 모양을 하고 왜적에 맞섰다니 임진년 전쟁 당시의 거북선인 듯한 배에 타고 있었던 듯하다. 무튼 이 배가 풍랑을 만나 침몰했고 수군인 이들이 물살에 떠밀려 이 섬에 이르렀다는 이야기다.
그로부터 펼쳐지는 이야기는  lt;라이프 오브 파이 gt; 속 파이의 이야기와 얼마 다르지 않다. 처음엔 표류로 쌓인 갈증과 배고픔을 해결하고, 나중엔 신비한 경험과 마주하며, 마침내는 섬의 실체를 깨닫는 것이다. 다만 다른 점도 있다. 그리고 그 다름이 이 영화  lt;바얌섬 gt;을  lt;라이프 오브 파이 gt;와는 다른 독자적 작품으로, 심지어는 장르와 성격을 달리 하는 창작물로 여기게끔 한다.
한국적 이색 사극, 충청 느낌 살아있네
    
전체 내용보기
				Tuesday 4 November 20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