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진년 이라는 단어가 까마득하다. 이미 잊은 사람들도 많을 터다. 이제는 지나간 2024년의 이름이 바로 갑진년 이었다. 이제 하루 밖에 남지 않은 갑진년 의 한국 교통은 어떻게 정리할 수 있을까.
2024년 한국 교통은 다사다난 이었다. 기쁜 소식인 철도·고속도로망 개통 소식이 유독 다른 해보다 많이 쏟아졌다. GTX를 시작으로 중앙선 고속화, 중부내륙선과 서해선, 동해선·대경선 개통 등 엄청나게 많은 철도 노선이 개업했고, 서부내륙고속도로·포천세종고속도로의 주요 구간 개통 소식도 이어졌다.
자율주행 버스가 이제는 자율주행 특구 가 아닌 일반 도로를 거침없이 누비고, 항공 수요가 2019년 수준을 회복했다는 소식도 전해졌지만, 새해를 불과 사흘 앞두고 터진 국내 최악의 여객기 참사, 제주항공 2216편 사고로 국민 모두가 비통함을 감출 수 없는 한 해로 마무리되었다.
[철도] GTX, 대경선, 중부내륙선... 개통 소식 많았던 한 해
2024년은 어느 해보다도 철도와 고속도로 개통 소식이 많았던 한 해로 기억될 것 같다. 가장 주목 받았던 소식이라면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A 노선의 개통이다. 3월 동탄-수서 구간이 개통한 데 이어, 지난 28일에는 서울역-운정 구간이 개통했다. 올해 비로소 개통한 GTX-A는 교통 혁명 을 가져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하철·전철 개통 소식도 많았다. 지난 8월에는 구리시와 남양주시 등 수도권 동부를 잇는 8호선의 별내선 구간이 문을 열었다. 12월 중순에는 대경선 광역전철이 개통하면서 대구와 경북이 광역철도의 혜택을 비로소 누릴 수 있게 되었다. 비슷한 시기에는 경산시 하양읍과 대구 안심역을 잇는 대구 1호선 하양 연장선도 개통했다.
일반 철도의 개통 소식도 이어졌다. 지난 10월 서해선의 서화성-홍성 구간이 개통했고, 평택선 역시 안중-평택 구간이 완전 개통하면서 서해선과 연계, 여객 영업을 개시했다. 11월에는 중부내륙선의 충주-문경 구간이 완전 개통하면서 서울 근교의 판교역에서 문경까지 2시간이면 갈 수 있게 되었다.
12월 말에는 중앙선 KTX의 안동-영천 구간의 공사가 마무리되면서 의성군, 군위군 등에 KTX가 서게 되었다. 중앙선 고속화 사업이 완료됨에 따라 부산 해운대역과 울산 태화강역에서 서울 청량리역을 잇는 KTX가 운행을 시작, 부산·울산과 수도권을 잇는 선택의 폭도 더욱 넓어졌다.
2025년 1월 1일에도 못 다한 철도 노선 개통 소식이 기다린다. 부산과 포항·삼척·강릉을 잇는 동해선이 완전 개통되기 때문. 이제 부산에서 기차를 타고 동해로, 강릉으로 쉽게 여행을 떠날 수 있고, 동해안을 관통하는 고속도로가 없어 사실상의 교통 불모지였던 동해안 중부 지역이 본격적인 철도의 수혜를 입게 될 전망이다.
[도로] 31일 자정, 120km/h 고속도로 개통한다
도로 역시 더욱 사정이 좋아졌다. 특히 상습 정체 구간으로 악명이 높았던 구간을 피할 수 있는 고속도로가 개통하는 등 더욱 빠르게 운전할 수 있게 되었다. 1월 1일로 넘어가는 자정에는 어쩌면 장거리 운전이 잦았던 이들에게 가장 반가운 소식도 기다리고 있다.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는 점점 완성된 순환선을 만들어가고 있다. 지난 2월 남양주 조안면에서 소흘읍까지의 구간이 개통해 서울양양고속도로의 정체를 나누어 든 데 이어, 지난 12월 19일 양주IC에서 파주 법원IC까지의 구간이 개통하면서 빈 구간이 점점 채워지는 모양새다.
지난 12월 10일에는 서부내륙고속도로의 평택-부여 구간이 개통했다. 그간 대체 도로가 없이 꽉 막히곤 했던 서해안고속도로의 서해대교·당진시 구간의 정체를 조금이나마 덜 전망이다. 아울러 같은 달 28일에는 함양울산고속도로의 창녕-밀양 구간이 개통하면서 경남 내륙 지역의 교통 편의가 증진되었다.
전체 내용보기
Thursday 30 October 2025
![李 “방일 희망” 다카이치 “日서 곧 뵙길”…한일 정상회담 ‘화기애애’ [2025 경주 에이펙-연쇄 정상회담]](/images/newhub-blank-news.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