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테? 그게 뭐야
아, 필라테스요.
그래, 별다줄(별 걸 다 줄여)!
딸과 우스갯소리를 나누던 그 필라테스를 배우기 시작했다. 지난여름 허리를 다쳐 2주간 병가를 낸 적이 있는데, 그때부터 급격하게 다리 근육이 빠진 듯하다. 나름 튼실한 허벅지라 여겼건만, 나이를 속일 수 없는 데다 꼼짝없이 눕거나 앉아 소파 생활을 이어가니 병가 중 눈에 띄게 근육이 사라져 걱정이 되었다.
요즘 모임 때마다 자주 듣는 연금보다 근육 이란 말은 우리 나이에 퇴직 후 밥벌이만큼이나 중요한 게 근육 관리임을 드러내는 문장이다. 일주일에 2~3회 셔틀콕을 치는 유산소 운동으로는 근력 운동이 부족한가 보다. 게다가 책자나 TV 방송 등 여기저기에서 근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정보를 흔하게 접하다 보니 불안감마저 생겼다. 건강한 중, 노년 생활을 위해서 지금부터 근육 만들기에 최선을 다할 용기를 내야 한다.
유엔은 전 세계 인류의 체질과 평균 수명에 대해 측정한 결과 사람의 평생 연령(120세 기준)을 다섯 단계로 나누어 미성년자(0~17세), 청년(18~65세), 중년(66~79세), 노년(80~ 99세), 장수 노인(100세 이후)으로 분류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나는 한창 근육 만들기 좋은 나이, 청춘인 것이다. 연금 부자를 꿈꾸듯 근육 부자를 꿈꾸기 딱 좋은 이 시기를 놓칠 수 없다.
그래서 용기 내어 필테 상담실 문을 두드렸다. 전에 1:1 필라테스 레슨 수강 경험이 있는 딸이 옆에 있어 든든했다. 후다닥 상담과 접수, 등록을 마치고 필테를 시작한 지 벌써 2개월이 흘렀다. 아직도 자세는 허둥지둥, 천방지축 말 그대로 어설프기 짝이 없지만 필라테스 매력에 점점 빠져들고 있는 중이다.
사실 처음에는 필라테스의 의미도 몰랐다. 창시자인 독일 체조 선수 요제프 필라테스의 이름에서 어원이 유래된 사실을 처음 알게 되었다. 체조와 스트레칭이 주를 이루는 운동으로 본래 제1차 세계대전 당시 포로수용소에 수감된 남성 군인들을 재활 치료하기 위한 목적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미국으로 건너간 필라테스 운동이 활성화, 대중화되어 주로 여성들의 건강과 몸매 관리를 위한 운동으로 유명해진 게 21세기부터라고 한다. 요제프는 신체 기능 장애 개선, 부상 치료, 체력 향상 등의 효과를 위해 운동 기계를 발명했는데 대표적인 것이 유니버설 리포머 이다. 최초의 리포머로 불리는 이것은 요제프의 운동 요법을 향상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고 한다.
필테 학원 곳곳에 마련된 기구에 대한 호기심으로 미리 검색 후 첫 수업을 받았다. 기구 필라테스는 보통 리포머, 바렐, 체어, 캐딜락 등이 있는데, 다양한 동작과 기구 별 효과 등으로 지루하지 않게 운동할 수 있어서 매력적이다.
전체 내용보기
Monday 13 October 2025
⁞
